검색결과 리스트
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253건
- 2011.12.07 [WP7] Image
- 2011.12.07 [WP7] Grid
- 2011.12.07 [WP7] CheckBox
- 2011.12.07 [WP7] Button
- 2011.12.07 [WP7] Border
- 2011.12.07 [WP7] Hello WP7
- 2011.12.07 [WP7] 폰 개발이란?(설치 내용)
- 2011.12.06 [C#] 오라클 설치 하지 않고 배포하기
- 2011.12.06 [Design] Compound Pattern
- 2011.12.06 [Design] State Pattern
글
속성에서 이미지 경로를 지정하여 나타 낼 수 있다.
단 표기 되는 이미지들은 JPEG와 PNG 형식이어야 한다.
물론 여기에 URL을 이용해도 가능하다.
cs 상에서 코드는
Image image = new Image();
Uri uri = new Uri("img/Hello3.jpg", UriKind.Relative);
StreamResourceInfo info = Application.GetResourceStream(uri);
BitmapImage img = new BitmapImage();
img.SetSource(info.Stream);
image.Source = img;
LayoutRoot.Children.Add(image);
이런 식으로 처리 해 주면 화면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다음은 이 코드를 실행 했을 때 화면이다.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여기에서 그리드 컨트롤을 하나 올리고 ColumnDefinitions와 RowDefinitions 속성을 이용하여 원하는
Grid 형태를 그려 낼 수 있다.
다음은 Grid에서 임의로 필자가 마음대로 컨트롤을 올린 모양이다.
cs 코드에서 만약 올리고 싶다면 약간의 제약이 따른 다는 것을 명심 해야한다.
직접적인 UI는 컨트롤러들을 붙이고 하면 되지만, cs 에서는
그리드.Children.Add(컴포넌트);
Grid.SetColumn(컴포넌트, 컬럼위치);
Grid.SetRow(컴포넌트, 로우위치);
규칙을 지켜줘야 한다.
설정
트랙백
댓글
글
Check, UnCheck, Indeterminate 상태가 있다.
처음에 두개는 익숙하게 보이겠지만 세번째의 모습은 일반적인 WinForm 개발자로서는 의아해 할 것이다.
직접 에뮬레이터를 돌려서 체크 단계를 확인을 해 보면 테두리가 생기는 단계가 있는데 그 단계가 나타난다.
그것이 여기에서 말하는 Indeterminate 상태이다.
이벤트를 같이 써야 함으로 CheckBox를 올린디 다중 선택을 하고 이벤트를 한거번에 걸어주고 난 다음
두번째의 CheckBox에만 따로 Indeterminate 이벤트를 먹여준다.
그렇게 하면 쉽게 이해가 갈 것이다 소스 코드추가는 다음과 같다.
위에 사진은 xaml 상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아래는 실제 cs 코드이다.
private void checkBox2_Checked(object sender, RoutedEventArgs e)
{
CheckBox box = sender as CheckBox;
if (box.Content.Equals("CheckBox 1"))
{
ApplicationTitle.Text = "checkbox 1";
}
else
{
ApplicationTitle.Text = "checkbox 2";
}
}
private void checkBox2_Unchecked(object sender, RoutedEventArgs e)
{
CheckBox box = sender as CheckBox;
if (box.Content.Equals("CheckBox 1"))
{
ApplicationTitle.Text = "checkbox 1";
}
else
{
ApplicationTitle.Text = "checkbox 2";
}
}
private void checkBox2_Indeterminate(object sender, RoutedEventArgs e)
{
CheckBox box = sender as CheckBox;
PageTitle.Text = "Indeterminate";
}
이 내용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설정
트랙백
댓글
글
C#과 동일한 구조임을 확인 할 수가 있다. 이것을 눌렀을 때 이제 기본적으로 생성되어지는 page name을 텍스트로 가지고
있던 PageTitle 내용을 바꿔보면 저기 있는 코드에서
PageTitle.Text = "버튼 이벤트"; 를 추가 해보고 실행 하여 보면,
설정
트랙백
댓글
글
Border는 WinForm의 Panel과 흡사하다.
이러한 형태가 나타나며 또한 이 테두리의 모서리를 변화 시키자고 한다면 CornerRadius 내용을 수정하면 된다.
여기에 TextBlock을 올려보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XAML 상에서는 이 컨트롤이 Border 안에 정의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설정
트랙백
댓글
글
VS 2010 Windows Phone 실행을 하여 Windows Phone Application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뜬다.
여기에서 각기 텍스트는 C#으로 WinForm 프로그램에서 했던 방식과 같이 각 속성의 Text 항목을 수정하면 그것에 맞게 수정이 된다.
Text 항목을 수정하면 아래에 XML 부분에서도 해당하는 Text 항목에서 그 내용이 바뀐 것을 알 수가 있는데 여기서 바꾸어도 전혀 무관하다.
또한 솔루션의 속성에 들어가 보면 배포 형식을 알 수가 있다.
그 형식은 xap 형식으로 다음과 같이 확인 할 수가 있다.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여기 MSDN 사이트 들어가보면 간단히 영상보고 샘플 한번 따라하기 딱 좋다.
일단 맛 보기엔 괜찮은 정도이다.
간단한 개발에 대한 설명과 설치에 대한 내용, 그리고 실습 관련이 조금 있다.(XNA 와 실버라이트)
그리고 에뮬레이터의 풀 버전(윈도우 폰과 동일) 으로 작업을 하고 싶다면
http://www.multiupload.com/TGBSSOXCO7 사이트 맨 위에 있는 것을 다운로드 한다.
파일 명은 WM70C1.en-US.unlocked.bin 일 것이다.
그럼 그 파일을 C:\Program Files\Microsoft SDKs\Windows Phone\v7.0\Emulation\Images 경로에 복사 해 준 뒤
에뮬레이터 실행 exe 바로가기를 반들고 대상에 그 내용 그대로 둔 뒤 한칸 띄워주고
"C:\Program Files\Microsoft SDKs\Windows Phone\v7.0\Emulation\Images\WM70C1.en-US.unlocked.bin"/VMID {E575DA31-FC47-4766-853F-018D823B9EE6}
입력해주면 윈도우 모바일 전체 에뮬레이터가 실행이 된다.
설정
트랙백
댓글
글
(필자도 2009년에 그렇게 했다가 포스팅 하는 것을 깜박하고 이제서야 올린다.)
하지만 매번 그러하기엔.. 많은 시간과 귀차니즘을 발생시키는데..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먼저 ODP.NET 을 XCOPY 버전으로 다운 받아 그 안의 Oracle.DataAccess.dll, OraOps11w.dll 파일을
프로젝트에서 참조하고 오라클과 관련된 코드를 짠다.
그리고 커넥션 스트링을 넣어주는데 DataSource 부분에 TNS에서 쓰는 내용 그대로 가져다 주면 된다.
그리고 실행 되는 폴더 안에
mfc71.dll, oci.dll, ociw32.dll, orannzsbb11.dll, oraocci11.dll, oraociei11.dll
이 파일을 넣어주고 실행을 하면..
오라클 없이도 배포가 잘 됨을 확인 할 수 있다.
단!! 그 PC에 또 다른 오라클이 설치가 되어 있다면 경로 문제로 에러가 난다는 것을 명심하자.
설정
트랙백
댓글
글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면 여러가지 패턴들을 적용 시킬 수 있는데,
그 패턴들의 조합을 지칭하는 패턴이다.
언젠가 고수가 되면.. 무결성이 있는 그런 패턴을 만들지 않을까...
설정
트랙백
댓글
글
하지만 차이점은 분명하다.
스트레티지의 경우 그 행동에 대한 내용을 정의 해서 각기 객체에 전달하여 그 내용을 실행하지만,
스테이트의 경우는 실행 중 그 내용에 따라 각기 행동에 맞게 바꿀 수가 있따.
하나의 전환 흐름을 판단 할 수 있게 모든 행동 패턴들은 관리자로 넘어온다.(Context 객체)
그 관리자에서 취합한 정보들을 가지고 각기 행동에 대한 맞는 객체를 전달하여 기능을 실행한다.
RECENT COMMENT